Search Console의 데이터 이상치

그래프에 발생한 문제에 관한 설명

드문 경우지만 Search Console에서 보고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에서 데이터 집계 방법을 변경하거나 로깅 오류가 있는 경우 차트가 급격히 하락하거나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는 지난 3~16개월 동안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문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제품별 참고사항

최근 문제 없음

실적 보고서(Google 검색 결과/디스커버/Google 뉴스)

2024년

8월 13일~9월 20일(Google 검색 결과)

2024년 8월 13일부터 2024년 9월 20일까지 제품 스니펫에 대한 Search Console 보고에 로깅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실적 보고서의 제품 스니펫 검색 노출 유형에 표시된 클릭수와 노출수가 증가했을 수 있으며, 리치 결과 보고서의 노출수 오버레이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로깅 문제일 뿐 클릭수나 노출수가 실제로 변한 것은 아닙니다.

5월 15일~27일(Google 검색 결과)

2024년 5월 15일부터 2024년 5월 27일까지 제품 스니펫에 대한 Search Console 보고에 로깅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실적 보고서의 제품 스니펫 검색 노출 유형의 클릭수와 노출수가 증가했을 수 있으며, 리치 결과 보고서의 노출수 오버레이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로깅 문제일 뿐 클릭수나 노출수가 실제로 변한 것은 아닙니다.

3월 28일~4월 2일(Google 검색 결과)

로깅 오류로 인해 2024년 3월 28일부터 2024년 4월 2일까지 Search Console에서 Google 이��지�� AMP 페이지 및 웹 스토리에 관한 보고를 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 Search Console 실적 보고서에서 AMP 페이지와 웹 스토리의 클릭수 및 노출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로깅 문제일 뿐 클릭수나 노출수가 실제로 변한 것은 아닙니다.

3월 26일

로깅 오류로 인해 2023년 8월 28일부터 2024년 3월 26일까지 Search Console에서 Google 이미지의 웹 스토리에 관한 보고를 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 Search Console 실적 보고서에서 웹 스토리의 클릭수 및 노출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해결되었으며 데이터가 Search Console에 반환됨에 따라 클릭수 및 노출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실제 클릭수나 노출수의 변화를 반영한 것은 아니며 데이터 로깅과 관련된 문제일 뿐입니다.

3월 4일 이후(Google 검색 결과)

Google 검색에서 이벤트 리치 결과가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했습니다. 따라서 실적 보고서의 이벤트 검색 노출 보고 측정항목의 클릭수 및 노출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실제 트래픽이 감소한 것이 아니라 Search Console에서 트래픽을 분류하는 방식이 변경된 것입니다.

크롤링 통계 보고서

최근 문제 없음

페이지 색인 생성 보고서

최근 문제 없음

동영상 색인 생성 보고서

최근 문제 없음

AMP 개선사항 보고서

최근 문제 없음

리치 결과 보고서

6월 25일 이후

이제 Google 검색에 이벤트를 등록하려면 실제 위치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벤트 리치 결과 보고서에서 구조화된 이벤트 데이터 항목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리치 결과를 사용하려면 유효한 구조화된 이벤트 데이터 마크업을 추가해야 합니다.

Core Web Vitals

최근 문제 없음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도움이 더 필요하신가요?

다음 단계를 시도해 보세요.

true
Search Console이 처음이신가요?

Search Console을 처음 사용해 보시나요? 초보자도, SEO 전문가도, 웹사이트 개발자도 여기서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
검색어 지우기
검색 닫기
Google 앱
기본 메뉴
3660373264563929959
true
도움말 센터 검색
true
true
true
true
true
83844
false
false
false
false